본문 바로가기

트렌드

사카린, 항생제 내성 잡는 열쇠?

사카린 항생제 내성을 잡는 열쇠?



영국의 모대학교의 연구팀은 사카린이 다제내성 박테리아를 직접 사멸시키고, 항생제의 치료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했다고 16일(현지시간) 밝혔다고 전해집니다.

연구에 따르면 사카린은 박테리아의 세포 성장 및 DNA 복제를 저해할 뿐만 아니라, 항생제 내성의 원인 중 하나인 생물막 형성을 억제하는 작용을 하는것으로 밝혀졌습니다. 생물막은 박테리아가 외부 환경으로부터 자신을 보호하기 위해 형성하는 막으로, 항생제 치료를 어렵게 만드는 주요 요인 중 하나라고 알려져 있습니다.


그렇다면 사카린이란 무엇일까요? 아래 사카린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사카린이란?


사카린(Saccharin)은 설탕보다 300~500배 더 강한 단맛을 지닌 인공 감미료로, 열량이 거의 없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주로 다이어트 식품, 다이어트 음료, 당뇨환자용 식품 등에 사용되며, 설탕을 대신할 수 있는 대표적인 무열량 감미료입니다.



2. 사카린의 주요 효능


2.1 열량 섭취 감소

사카린은 칼로리가 거의 없어 체중 관리에 도움이 됩니다. 설탕 대신 사카린을 사용하면 당분 섭취를 줄이면서도 단맛을 유지할 수 있어 다이어트 식단에 적합합니다.

2.2 혈당 상승 억제

당분을 대체하기 때문에 혈당을 거의 올리지 않아 당뇨병 환자나 혈당 조절이 필요한 사람에게 유용합니다. 실제로 많은 당뇨 식품에 사카린이 첨가되어 있습니다.

2.3 충치 예방

설탕과 달리 사카린은 구강 내 세균에 의해 발효되지 않아 충치를 유발하지 않습니다. 어린이용 껌, 구강청결제 등에도 종종 사용됩니다.


3. 사카린의 사용 예시


다이어트 음료

당뇨병 환자용 디저트

무설탕 껌 및 사탕

저열량 요거트 및 과일 통조림

일부 가공식품 및 조미료



4. 사카린의 안전성


사카린은 과거 일부 동물 실험 결과로 인해 논란이 있었지만, 현재는 국제보건기구(WHO), 미국식품의약국(FDA), 유럽식품안전청(EFSA) 등 주요 보건기구에서 안전성을 인정받고 있으며, 권장 섭취량 이하에서는 인체에 해가 없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습니다.

권장 섭취량(ADI): 5mg/kg/day (체중 60kg 기준 최대 약 300mg/일)



5. 주의사항


과도한 섭취 시 위장 장애나 쓴맛, 금속성 뒷맛을 느낄 수 있습니다.

식품을 고를 때에는 사카린 함유량을 확인하고, 다른 감미료와 병용 시 주의해야 합니다.


사카린은 설탕을 대체할 수 있는 효과적인 감미료로, 열량 섭취를 줄이고 혈당 조절에 도움을 주며 충치 예방에도 기여할 수 있습니다. 적절한 범위 내에서 사용하면 건강한 식습관을 유지하는 데 유용한 도구가 될 수 있습니다.

사카린의 유해성 논란이 끊이지 않고 있지만, 연구를 통해 건강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밝혀지길 바라겠습니다.

항생제 내성을 잡는 열쇠가 된다면 전세계적으로 항생제 내성균으로 고통받는 인류의 건강을 지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